을 포함하는 세 글자의 단어: 742개

한 글자:1개 두 글자:348개 🍹세 글자: 742개 네 글자:1,363개 다섯 글자:821개 여섯 글자 이상:1,733개 모든 글자:5,008개

  • : (1)지위나 신분에 구애되지 않으며 행동이나 차림새가 평민과 같은. 또는 그런 것.
  • 피리 : (1)‘모래주사’의 방언
  • 짜건 : (1)조선 시대 유생들이 쓰던 실내용 두건의 하나.
  • 이수 : (1)조선 후기의 무신(1651~1724). 자는 일경(一卿). 숙종 2년(1676)에 무과에 급제한 뒤에 삼도 수군통제사에 올랐다. 경종 때에 신임사화로 귀양 가는 김창집을 비장을 시켜 호행하게 한 죄과로 파직ㆍ유배되어 죽었다.
  • 폐녀 : (1)남에게 폐해를 끼치는 여자.
  • 수라 : (1)파동편모충증과 회선 사상충증의 예방과 치료에 육나트륨염으로 쓰이는 항사상충 및 항원충제. 독성이 있어 주의하여야 한다.
  • 정부 : (1)군정을 실시하는 지역에서, 군사 정부의 지시를 받아 군정을 제외한 일체의 행정 사무를 관장하는 부서. (2)중화 인민 공화국 국무원에서 내무행정에 관한 사무를 담당하는 부서.
  • 주거 : (1)일정한 곳에 머물러 살고 있는 사람.
  • : (1)조선 후기의 가인(歌人)(?~?). 자는 신여(愼汝). 호는 매월송풍(梅月松風). 다양한 작품 경향을 보인 다작의 작가로, ≪청구영언≫에 사설시조 3수를 포함하여 시조 43수가 전해진다.
  • : (1)고려 시대에, 가난한 백성의 질병 치료를 맡아보던 관아. 예종 7년(1112)에 설치하여 충렬왕 때에 사의서의 관할로 하였다가 공양왕 3년(1391)에 혜민전약국으로 고쳤다. (2)조선 시대에, 백성의 질병을 고치는 일을 맡아보던 관아. 태조 1년(1392)에 설치한 것으로, 세조 12년(1466)에 혜민서로 승격하였다.
  • : (1)서민들에게 적합한 유형이나 형식.
  • 재수 : (1)조선 중기의 문신(1668~1718). 본관은 여흥(驪興). 자는 사로(師魯). 벼슬은 통훈대부 호조 정랑(戶曹正郞)에 이르렀다.
  • 감점 : (1)핵의학 스캔에서 주사한 동위 원소가 비정상정으로 고농도로 모인 영상을 보이는 부위. (2)자극했을 때에 열감을 느끼는 피부 부위.
  • 트리 : (1)‘미투리’의 방언
  • 주국 : (1)나라의 주권이 국민에게 있고 국민의 뜻에 따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운용되는 정치를 펴는 나라.
  • 거지 : (1)보가 원기둥 머리에 실릴 때 보 어깨를 둥근기둥면에 밀착하게 굴려 깎는 일. ⇒규범 표기는 ‘민걷이’이다.
  • 구호 : (1)재해나 재난 따위로 어려움에 처하여 도움을 필요로 하는 사람.
  • 이세 : (1)중국 당나라 태종의 본명.
  • 상법 : (1)민법과 상법을 아울러 이르는 말.
  • : (1)대중의 소득 향상과 국민 경제 발전에 기여할 목적으로 정책적으로 널리 보급한 주식. 정부가 관리해 오던, 공익성과 수익성이 있는 우량 공공 기업의 주식을 중하위 소득 계층에 우선적으로 공급함으로써 기업 소득의 분배를 꾀한다. (2)국민의 대다수가 마시기 좋아하는 술.
  • : (1)‘황국 신민화’를 줄여 이르는 말.
  • 이호 : (1)조선 선조 때의 공신(1553~1634). 자는 효언(孝彦). 호는 오봉(五峯)ㆍ남곽(南郭)ㆍ수와(睡窩). 임진왜란 때 이여송(李如松)에게 원군을 청하여 공을 세우고 연릉 부원군(延陵府院君)에 봉해졌다. 문장과 시에 뛰어났으며, 작품에 <용만시(龍灣詩)>, 문집에 ≪오봉집≫ 따위가 있다.
  • : (1)대중가요, 영화 음악 작곡가(1940~1987). 경상남도 진주 출신으로, 800여 곡의 대중가요와 500여 편의 영화 음악 작품을 남겼다. 1974년과 1979년에는 대종상 음악 부문에서 수상하였고, 대표작으로 <목석 같은 사나이>, <대머리 총각>, <육군 김일병>이 있다.
  • 요권 : (1)특정한 양식의 민요가 불리는 지역 또는 영역.
  • : (1)조선 시대에, 관아에 쓰이는 인부(人夫)를 대기 위한 계(契).
  • : (1)조선 시대에, 송강 정철이 지은 16수의 시조. 작가가 강원도 관찰사로 있을 때, 백성을 훈계하기 위하여 지었으며, ≪송강가사≫에 실려 전한다.
  • 거류 : (1)남의 나라 영토에 머물러 사는 사람.
  • 유중 : (1)조선 숙종 때의 문신(1630~1687). 자는 지숙(持叔). 호는 둔촌(屯村). 인현 왕후의 아버지로, 여양 부원군(驪陽府院君)에 책봉되었다. 조 대비의 복상(服喪) 문제가 일어나자 대공설(大功說)을 지지하였으며, 경서에 밝아 유림 사이에 명망이 높았다.
  • : (1)‘퍼민바’의 북한어.
  • 챙이 : (1)민챙잇과의 고둥. 껍데기가 얇고 반투명의 달걀 모양이며, 흰색에 담황색의 각피가 덮여 있다. 한국,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 드기 : (1)‘돔발상어’의 방언
  • 선주 : (1)먼저 살던 사람.
  • 어촌 : (1)어촌에 사는 국민.
  • 친서 : (1)서민과 친근하거나 서민을 위하는 태도를 지님.
  • 재류 : (1)남의 나라 영토에 머물러 사는 사람.
  • 망초 : (1)국화과의 두해살이풀. 높이는 15~90cm이며, 잎은 주걱 모양이고 밋밋하다. 줄기는 모가 지고 털이 났으며 가지가 우산의 살 모양으로 퍼진다. 두상화(頭狀花)가 총상(總狀) 화서로 핀다. 한국의 중부 이북 지방과 중국, 시베리아, 유럽 등지에 분포한다.
  • 법상 : (1)민법에 따름. 또는 그런 것.
  • 속극 : (1)민간에 전하여 내려오는 극 양식. 가면극, 인형극 따위가 있다.
  • 실향 : (1)고향을 잃고 타향에서 지내는 백성.
  • : (1)함경북도 무산군 어하면과 서하면 사이에 있는 산. 함경산맥에 속하며, 부근 일대에서 두만강의 지류인 소홍단수(小紅湍水), 서두수(西頭水), 연면수(延面水) 따위가 시작한다. 높이는 1,619미터.
  • : (1)식민지를 가진 나라.
  • 중시 : (1)민중의 관점으로 민중의 생활을 표현한 시.
  • : (1)1912년 이상룡(李相龍) 등이 만주에서 재만 한인의 복리 증진, 자활 대책의 강구, 자녀 교육, 애국 청년의 군사 훈련, 독립운동 기지 조성 따위를 목표로 조직한 자치 기관.
  • 봉산 : (1)함경북도 무산군 무산읍과 동면 사이에 있는 산. 함경산맥에 속한다. 높이는 1,412미터.
  • 스크 : (1)벨라루스의 수도. 자동차 공업, 공작 기계, 직물, 피혁 공업이 활발하다. 면적은 4만 800㎢.
  • 유한 : (1)‘유군’의 북한어.
  • : (1)민심을 따름.
  • 부역 : (1)부역에 동원된 백성.
  • : (1)시민이 씀. 또는 그런 물건.
  • : (1)시민들로 조직된 군대.
  • 적법 : (1)대한 제국 때에 시행한, 호적에 관한 법률. 1909년에 공포ㆍ실시하였다.
  • : (1)조선 시대에, 임금의 거둥 때나 궁중의 잔치 때에 연주하던 아악곡(雅樂曲). 세종 때 용비어천가 1~4장과 125장을 아악 곡조에 얹어 부를 수 있도록 작곡한 가락으로, 모두 10장이었는데 7장만 관현악기로 연주하며 노래는 부르지 않는다. 음률이 화평하고 웅대하다.
  • : (1)기원전 114년에 중국 한나라의 무제가 시행한 것으로, 허위 신고자를 고발하면 상인의 재산을 몰수하여 그 반을 고발한 사람에게 주도록 한 규정. 이를 장려하여 대상인이 몰락하는 경우도 생겼으며, 정부의 재정은 풍부해졌다.
  • 케타 : (1)효과가 매우 빨리 나타나서 가벼운 수술, 분만, 화상 치료에 쓰는 전신 마취제. 고혈압 환자에게는 쓰지 않는다.
  • : (1)식민이 되거나 식민으로 만들면서 가지는 성질.
  • : (1)경제적으로 중류 이하의 넉넉지 못한 생활을 하는 사람들이 씀. 또는 그런 것.
  • : (1)주로 농민들이 입는 옷.
  • 군관 : (1)일반 국민과 관청과 군대를 아울러 이르는 말.
  • 사간 : (1)예전에, 국가나 감독 관청이 모르게 밭을 일구어 농사짓던 사람.
  • 부쇼 : (1)일본 율령 체제의 팔성(八省) 가운데 하나로, 조세ㆍ부역ㆍ호적 따위를 맡아보던 관아.
  • : (1)신라 경덕왕 24년(765)에 충담사가 지은 향가. 나라를 잘 다스리고 백성을 평안하게 하는 바른길을 읊은 것으로, ≪삼국유사≫에 실려 있다.
  • : (1)남북 전쟁 후 농촌의 침체에 대한 불만을 정치적으로 해소하기 위해 농민을 중심으로 1891년에 결성된 미국의 정당.
  • 전학 : (1)민간 생활과 연결된 신앙, 습관, 풍속, 전설, 기술, 전승 문화 따위를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학문.
  • 소개 : (1)일정한 곳에서 소개하여 다른 곳으로 옮아가서 사는 사람.
  • 피해 : (1)재해를 피하려는 백성.
  • 주형 : (1)모든 구성원이 결정에 참여하고 합의하는 데 중점을 두는 유형.
  • 하등 : (1)문화적, 경제적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은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
  • 실루 : (1)알루미늄과 규소를 섞은 알루미늄 경합금. 가볍고 단단하며 바닷물에도 녹슬지 아니하여서 항공기와 자동차의 부품 제조에 쓴다.
  • : (1)가난한 사람들이 모여 사는 구역. (2)러시아의 문학가 고리키가 지은 희곡. 하층 계급의 생활상을 그린 사실극이다. 1902년에 출판하였다. 4막.
  • 중본 : (1)일반 민중을 위해 간행한 책.
  • : (1)차림새, 성격, 얼굴이나 체격이 겉으로 보기에 농민답거나 농민과 비슷하게 생긴 형.
  • : (1)중국 본토에서 예로부터 살아온, 중국의 중심이 되는 종족. 인종적으로 황인종에 속하고, 한어(漢語)를 쓰며, 중국 전체 인구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2)한반도와 그에 딸린 섬에서 예로부터 살아온, 우리나라의 중심이 되는 민족. 한국어를 쓰며 한반도와 남만주에 모여 살고 있다.
  • : (1)지체가 낮고 천한 백성과 같은 품성.
  • 소수 : (1)국가를 구성하는 적은 수의 일반인.
  • : (1)벽이나 기둥으로부터 비어져 나온 보. 한쪽 끝은 받침점에 고정되고 다른 끝은 공중에 자유로이 들려 있다.
  • 칼라 : (1)산화 아연과 삼산화 이철의 분말 혼합물. 스킨로션이나 연고(軟膏) 따위에 쓴다.
  • : (1)백성에 대하여 폭동을 일으킬 적(敵)으로 보는 견해.
  • : (1)1919년에 평안남도 대동군에서 임종영(林鍾英)ㆍ정정협(鄭正協)ㆍ이창민(李昌敏)ㆍ박면하(朴冕河) 따위가 친일파 암살을 위하여 조직한 독립운동 단체. 임시 정부의 문서 전달 및 군자금 모금에 주력하였다. 1920년에 일본 경찰에 발각되어 해체되었다.
  • : (1)방의 외벽이 건물의 다른 외벽보다 두드러져 나온 방.
  • : (1)어떤 약물이나 자극에 대한 반응이 보통 사람보다 훨씬 예민한 증상.
  • 정복 : (1)남의 나라나 이민족 따위를 정벌하여 복종시킨 사람들.
  • 한재 : (1)가뭄으로 인하여 피해를 입은 사람.
  • : (1)조선 시대에, 한성부에서 3년마다 전국의 호구를 조사하여 임금에게 아뢰던 일.
  • : (1)철, 코발트, 니켈계 합금의 연자성 합금재료. 변태점이나 그보다 약간 높은 온도까지 가열한 다음 천천히 식히면 1에르스텟(Oe)의 자기장까지 유자율이 변하지 않는다.
  • : (1)인민으로 조직된 군대. (2)북한의 군대.
  • 법학 : (1)민법의 법리(法理)를 연구하는 학문.
  • : (1)1601년 영국에서 가난한 사람들을 구제하기 위한 만든 법.
  • : (1)고대 로마에서, 평민으로 구성된 의회. 초기에는 호민관에게 권한이 집중되어 있었으나, 평민 세력이 신장되어 정식으로 입법권이 인정됨으로써 중요성이 커졌다.
  • 리향 : (1)‘이향민’의 북한어.
  • 레구 : (1)콩이나 팥 따위에 들어 있는 단백질. 염화 마그네슘을 섞으면 엉기는 성질을 이용하여 두부를 만든다. 카세인의 대용으로 쓴다.
  • : (1)국가 상호 간의 협약에 의하여 이민을 받아들이기로 결정한 지역. (2)지역이 매우 넓고 인구가 적어서 이민하기에 알맞은 곳.
  • 적탈 : (1)벌거벗은 백성이라는 뜻으로, 아주 가난한 백성을 이르는 말.
  • 용호 : (1)조선 말기의 의병장(1869~1922). 호는 복재(復齋). 1895년에 을미사변이 일어나자 경기도ㆍ강원도 등지에서 의병을 일으켰다. 저서에는 ≪복재집≫ㆍ≪병신일기≫ 따위가 있다.
  • : (1)‘임연수어’의 방언
  • : (1)그 나라 고유의 국민 정서를 읊어 모든 국민이 애송(愛誦)하는 시. (2)그 나라 국민 문학의 대표적인 시.
  • 세농 : (1)농사짓는 경지가 적어 생계를 겨우 유지하는 농민. 또는 매우 적은 규모의 농업.
  • : (1)국민을 위하고 가까이하는 성향을 지닌. 또는 그런 것.
  • 중왕 : (1)고구려의 제4대 왕(?~48). 이름은 해색주(解色朱). 제3대 대무신왕의 아우로, 대무신왕이 죽은 후 나이 어린 태자를 대신하여 즉위하였다. 재위 기간은 44~48년이다.
  • 베트 : (1)1941년에 호찌민을 중심으로 중국에서 결성된 독립 운동 단체. 반불(反佛)ㆍ항일(抗日) 운동을 전개하기 위하여 조직된 것으로 뒤에 공산 베트남의 중핵(中核) 단체가 되었다.
  • 응식 : (1)조선 고종 때의 척신(戚臣)(1844~?). 자는 성문(性文). 호는 우당(藕堂). 임오군란 때 충주의 자택을 명성 황후의 피신처로 제공하여 혜상공국 총판(惠商公局總辦)이 되었다. 개화파 타도에 힘썼으며, 갑오개혁으로 고금도(古今島)로 유배되었다.
2 3 4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99개) : 마, 막, 만, 맏, 말, 맑, 맗, 맘, 맛, 망, 맞, 맡, 맣, 매, 맥, 맨, 맬, 맴, 맵, 맹, 먀, 머, 먹, 먻, 먼, 멀, 멈, 멋, 멍, 멎, 메, 멕, 멘, 멜, 멤, 멧, 멩, 멫, 며, 멱, 면, 멸, 몀, 몃, 명, 몇, 모, 목, 몫, 몬, 몯, 몰, 몱, 몸, 못, 몽, 뫃, 뫼, 뫽, 묄, 묌, 묏, 묗, 묘, 묫, 무, 묵, 묶, 문, 물, 뭀, 뭄, 뭇, 뭉, 뭍, 뭐, 뭔, 뭘, 뭣, 뭬, 뮈, 뮐, 뮤, 뮬, 므, 믄, 믈, 믐, 믜, 미, 믹, 민, 밀, 밇, 밈, 밋, 밍, 및, 밑

실전 끝말 잇기

민으로 시작하는 단어 (1,513개) : 민, 민가, 민가락지, 민간, 민간 개발, 민간 건설 중형 국민 주택, 민간 경기, 민간 경제, 민간 계약직, 민간 고정 자본 형성, 민간 관광, 민간 관광 조직, 민간 관리 주체, 민간 교류, 민간교예, 민간 군사 기업, 민간극, 민간 금융, 민간 금융업, 민간 금융업계, 민간 금융업자, 민간 금융업체, 민간 금융 위원회, 민간급, 민간기, 민간 기관, 민간 기구, 민간 기금, 민간 기업, 민간 기업체 ...
민으로 시작하는 단어는 1,513개 입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민을 포함하는 세 글자 단어는 742개 입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